Sep 21, 2014

SCT summary



해석학적 기준(이해력 창출, 가치의 명확화, 미감 고취, 학자 공동체의 합의, 사회 개혁)

좋은 해석학적 이론이 되기 위한 다섯 가지 조건

1. Understanding of People
 - 인간 생활에 새로운 통찰력 제공
 : 인간 고유의 활동=상징적 상호작용. 이를 분석->새로운 이해력 창출.
 - 텍스트의 이해에 도움을 줌
 :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이해에 도움을 주면 좋은 해석학적 이론이다.

2. Clarification of Values: 사람들의 가치를 공개적으로 이끌어 냄.
 - 메시지 속의 이데올로기를 밝히는 노력.
 - 연구와 윤리적 명령은 항상 공존: '연구자가 권력 구조를 피할 수 있는 안전한 은신처는 없다.'
 - (판타지 테마 분석의 전제=의미, 감정, 동기가 메시지의 내용에 분명히 드러남.)
 - (자유, 기회 균등, 근면한 노동, 도덕적 품위를 지향하는 American Dream에 긍정적인 SCT.)

3. Aesthetic Appeal: 미학을 구체화.
 - 수사학적 비평가의 역할 중 '예술가' 역할=감상력 자극.
 -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형식과 내용은 독자의 상상력을 사로잡을 수 있음.
 - (SCT: 행위자의 행동에 주목하는 단조로움->미적 검증에 취약.)

4. Community of Agreement: 학자 공동체 내부의 지지
 - 주관적인 해석도, 그 진술의 합당 여부는 연구자들에 의해 결정됨.
 - 인문과학은 '공허한 곳에서 수행되는 외로운 일'이 아니라, '학자 공동체의 노력'.
 - 건전한 주장 vs. 건전하지 못한 주장: 연구자 뿐 아니라, 비판적인 일반 독자에게도 설명 가능할 때.

5. Reform of Society: 비판적 해석학자는 사회 변혁가
 - '이론은 문화에 도전하고, 사회생활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며, 당연한 것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것'

(Reference. http://www.slideshare.net/commbooks/ss-4928126)



No comments:

Post a Comment